추진배경

해양공간 다양한 이용·개발에 직면 : 해양의 산업화 시대

해양공간 이용이 수산, 교통 등 전통적 방식에서 에너지 자원 개발, 관광 등 새로운 분야로 확대

해역이용협의 건수 지속적 증가 : 1,363건(`08) > 2,467건(`18)

해양이용의 변화 : Bigger, Deeper, Wider, Multiple

어획

양식

항만 및 해운

관광 및 여가

관광 및 여가

골재ㆍ광물 채취

조력발전

해상풍력발전

인간의 이용에 따른 해양생태계 위협 및 훼손 증가 > 해양생태계 서비스 가치 저하

인간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해역이 전 세계 바다의 66%를 차지 (Halpern et al., 2015)

해양공간 이용 및 개발 증대

해양 생태계 훼손

해양공간·자원 이용을 둘러싼 갈등 지속 및 심화

개별 부처별 해양공간 선점경쟁 가속화, 해양이용-보전간 또는 이용간 갈등 심화

개별 법에 의한 지구 설정 : 공간 이용방향 - 해양환경·생태계 관리 연계성 미비

* 현재 개별 법에서 해양공간에 지정 가능한 지구·구역은 150여 개에 달함

공유재인 해양자원에 대한 비합리적 입지선정은 타 분야의 활용 가능성 훼손 > 해양부가가치 저하

* 해양에너지 - 어장, 양식어장 - 선박운항, 해저구조물 - 어로활동 제약 등

바닷모래 채취 연장 땐 어업인 총궐기

신재생 확대 “키” 해상풍력도 어민반발에 몸살

해양공간계획 추진결과

우리나라 해양공간계획 제도 도입 경과는?

해양용도구역 지정은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여 바다의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주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지역협의와 주민열람,공청회,관계기관 협의 등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합리적인 해양용도구역을 지정

우리바다 용도구역 지정 현황은?